728x90
반응형

물리기초상식 12

🔁 지수와 로그는 서로 반대!

🔁 지수와 로그는 서로 반대!🎲 지수란?지수는 어떤 수를 몇 번 곱했는지를 나타내는 표현이에요. 예: 23 = 2 × 2 × 2 = 8 여기서 2는 밑, 3은 지수, 결과는 8이에요.🧠 로그란?로그는 지수가 몇인지를 알려주는 거꾸로 문제예요! "2를 몇 번 곱하면 8이 될까?" 정답: log2 8 = 3 왜냐하면 23 = 8이니까요!🔁 지수 ↔ 로그 변환표 지수 표현 로그 표현 ax = b loga b = x 102 = 100 log10 100 = 2 34 = 81 log3 81 = 4 🌱 자연로그 ln과 eln은 밑이 e인 로그예요. 여기서 e는 ..

물리기초상식 2025.07.10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하는! e-ln2는 왜 1/2일까?

초등학생도 쉽게 이해하는! e-ln2는 왜 1/2일까?오늘은 수학에서 나오는 e-ln2라는 식이 왜 1/2이 되는지, 아주 쉽게 설명해볼게요! 😊🎲 로그는 뭐예요?로그는 어떤 숫자를 몇 번 곱해서 만들었는지를 알려주는 거예요. 2 × 2 = 4니까, log2 4 = 2 즉, "2를 두 번 곱하면 4가 돼요!"🧠 그럼 ln 2는요?ln은 '자연로그'라고 하는데, 밑이 e인 로그예요.여기서 e는 약 2.718이라는 아주 특별한 숫자예요.🌟 그럼 e-ln2는 뭘까?이 식은 이렇게 생각하면 돼요: 지수(윗부분)에 마이너스(–)가 있으면 ‘거꾸로’라는 뜻! 23 = 8인데, 2-3 = 1/8이 되죠?그래서 e-ln2는 이렇게 바뀌어요:e-ln2 = 1 ÷ eln2✨ 그런데 eln2는 뭐죠?eln2 ..

물리기초상식 2025.07.10

🧪 물리학에서의 p, d, t, α, 중이온 – 핵입자 정리

🧪 물리학에서의 p, d, t, α, 중이온 – 핵입자 정리 핵물리학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호들인 p, d, t, α, 중이온은 각각 특정한 입자 또는 원자핵을 의미합니다. 이들은 모두 핵반응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며, 원자력, 핵융합, 방사성 붕괴 등 다양한 현상을 설명할 때 필수적인 개념입니다. 🔹 핵입자 요약 표 기호 이름 구성 입자 질량수 A 전하 Z 설명 p 프로톤 1p 1 +1 양성자. 수소의 핵. 기본 입자 중 하나 d 듀테론 ..

물리기초상식 2025.06.25

🧪 프로톤(Proton)이란?

🧪 프로톤(Proton)이란? – 원자의 중심에서 활약하는 입자세상의 모든 물질은 원자로 이루어져 있고, 그 원자의 중심엔 프로톤(Proton)이라는 작은 입자가 자리 잡고 있습니다. 작지만 중요한 이 입자, 과연 어떤 역할을 할까요?🔹 프로톤의 정체프로톤은 양전하(+1)를 가진 아원자 입자이며, 원자핵을 구성하는 기본 구성 요소입니다.전하: +1 (양전하)질량: 전자의 약 1836배발견: 어니스트 러더퍼드 (1917)기호: p⁺ 또는 H⁺🔸 왜 중요한가요?원소의 정체를 결정 – 원자 번호는 프로톤 수입니다. 수소(1), 헬륨(2), 탄소(6)...전자와 균형 – 전자의 음전하와 균형을 맞춰 원자를 전기적으로 중성 상태로 유지합니다.에너지의 열쇠 – 핵융합, 핵분열 등 모든 핵반응에 관여합니다.🧬..

물리기초상식 2025.06.25

🧪 방사성표지화합물의 제조법, 어떻게 이루어질까?

🧪 방사성표지화합물의 제조법, 어떻게 이루어질까?의약·생명과학·핵의학 분야에서는 특정 물질의 이동 경로나 생체 내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방사성표지화합물(Radiolabeled Compounds)**을 활용합니다. 이는 분자에 방사성동위원소를 결합시킨 것으로, PET나 SPECT 같은 분자영상 기술의 핵심입니다.이번 글에서는 방사성표지화합물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방사성표지화합물이란?방사성표지화합물은 방사성동위원소를 특정 생물학적 활성 물질에 결합시킨 화합물입니다. 이 표지화합물은 체내에서의 위치, 흡수, 대사, 배출 등을 비침습적 영상 기법으로 추적할 수 있게 해주며, 진단뿐 아니라 치료용 의약품으로도 개발됩니다.🧭 일반적인 제조 과정 4단계1️⃣ 방사성동위원소의 ..

물리기초상식 2025.06.07

🧬 방사선 생물학: 세포분열주기와 방사선 감수성

🔄 세포분열주기(Cell Cycle)의 네 단계 단계 설명 방사선 감수성 G1기 (Gap 1)세포 성장, 단백질 합성 시작중간 감수성S기 (Synthesis)DNA 복제가장 낮은 감수성G2기 (Gap 2)분열 준비, 복제된 DNA 확인높은 감수성M기 (Mitosis)세포분열 (유사분열)가장 높은 감수성 📌 핵심 포인트M기와 G2기: 방사선에 가장 민감한 시기입니다. 염색체가 응축되고, DNA 손상 시 복구 여유가 없기 때문입니다.S기: 가장 저항성이 강한 시기입니다. DNA 복제가 활발히 일어나기 때문에 복구 메커니즘이 잘 작동함.세포가 활발히 분열할수록 방사선에 더 민감합니다.→ 그래서 종양세포는 일반적으로 정상세포보다 방사선에 더 잘 반응합니다.📚 추가로 알아두면 좋은 개념방사선 ..

물리기초상식 2025.05.18

주양자수 에너지준위

주양자수(n)가 커질수록 에너지 준위가 커지는 이유는 양자역학적 에너지 준위의  정의와 관련이 있습니다. 1. 보어의 원자 모형에 따른 설명 수소 원자의 경우, 전자의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En​=−(13.6eV/n^2)​ 여기서 n이 증가하면 분모가 커지므로 에너지 절댓값이 작아지며, 즉 에너지가 증 가합니다. (더 높은 준위로 올라감) 2. 양자역학적 설명 양자역학에서 주양자수 nn은 전자의 **껍질(shell)**을 결정하며, 이는 원자핵으로부 터 평균적인 거리와 관련이 있습니다. · 주양자수 n 증가 → 전자의 공간적 확산 증가 → 핵의 인력 감소 → 에너지  증가 · n이 커질수록 전자는 핵으로부터 더 멀리 존재할 확률이 높아지므로, 핵의  전기적 인력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워지고, 그 ..

물리기초상식 2025.03.09

2차 전자평형(Secondary Electron Equilibrium, SEE)

**2차 전자평형(Secondary Electron Equilibrium, SEE)**는 방사선 치료와 방사선 물리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특정 깊이에서 입사된 방사선과 그 방사선으로 인해 발생한 2차 전자들이 평형 상태를 이루는 상황을 말합니다. ### 1. 2차 전자평형의 원리 입사된 방사선이 물질에 도달하면, 물질 내부에서 전자(2차 전자)가 방출됩니다. 이 2차 전자는 주변 물질과 상호작용하면서 에너지를 전달합니다. 일정 깊이 이상에서, 입사된 방사선이 발생시키는 2차 전자의 양과, 물질이 흡수하는 양이 균형을 이루는 상태가 되는데, 이를 2차 전자평형이라 합니다. ### 2. 2차 전자평형이 발생하는 조건 2차 전자평형이 발생하려면 충분히 두꺼운 물질이 필요하며, 방사선 빔의 에너지가 높을수록 ..

물리기초상식 2024.11.07

빛 전자기

빛 빛(전자기)은 입자성과 파동성을 가진다. 이 중 빛의 입자성을 가리키는 빛의 또 다른 이름이 바로 광자다. 빛의 파동성을 가리키는 이름은 전자기파다. 빛이란 건 전자기력이 작용하는 역장(=전자기장)을 쉽게 부르는 이름이다. 근데 이 전자기장은 과학자들이 관측하기에 따라 입자처럼 보일 때도 있고 파동처럼 보일 때도 있다. 광자란 이 빛의 입자스러움을 가리키는 명칭. 일단 빛이기 때문에 당연히 광속으로 운동한다. 광자의 에너지는 E = h \nu E=hν(하뉴)이다. 처음 배울 때 하뉴라는 발음을 듣고 당황하기 쉬운데, 플랑크 상수 h h는 막스플랑크가 독일인이라 독일식으로 '하'라 읽고, 진동수 \nu ν는 로마자가 아니라 그리스 문자라 '뉴'라고 읽는다. 근데 사실 물리에선 h\nuhν보다 \hbar..

물리기초상식 2024.02.25

방사선과 물질의 상호작용

방사선과 물질의 상호작용. 방사선이 물질 속에 들어오면 물질과의 여러 가지 상호작용을 통해 물질에 에너지를 부여하고 동시에 방사선 자체도 에 너지를 잃어 진로가 변하고 결국 소멸하게 된다. 방사선과 물질의 상호작용은 방사선의 측정, 방사선의 이용 또는 방사선의 차폐 등에서 기본적인 원리가 된다. 어떤 물질에 입사된 방사선이 물질 내에서 거동하고 상호작용하는 형태는 당연히 방사선의 종류와 에너지, 그리고 반응하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또 하나의 방사선이 물질과 상호작용을 일으킨 결과로 다른 종류의 2차 방사선을 만들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방사선의 물질과의 상호작용은 그림 1-2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입사입자와 표적입자와의 탄성산란, 비탄성산란 그리고 핵반응의 세 가지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물리기초상식 2022.06.02

물리 공식

검색 번거로워 여기에 옮겨 적음 물리공식 기호 1. B : 특정 단면적을 통과하는 자기력선의 수를 말합니다. C : 열용량입니다. E : 에너지를 말합니다. 에너지의 종류에는 운동에너지, 위치에너지, 빛에너지, 소리에너지 등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e : 반발계수입니다. F : 힘입니다. g : 중력가속도입니다. 지표면에서의 평균적인 중력가속도는 약 9.8m/s^2 이지요. 방향은 대체로 지구 중심방향입니다. G : 만유인력 상수 입니다. h : 그냥 일반적으로 높이(지표면으로부터)를 나타낼 때 쓰는 문자입니다. 특별한 의미는 없습니다. I : 엘(L)의 소문자가 아니라 아이(i)의 대문자입니다. 충격량입니다. k : 저항력을 구할 때 적용하는 비례상수입니다. 저항력을 받는 대상물체의 모양이나 표면 생김..

물리기초상식 2022.03.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