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방사선 관련 기초 이론 5

RaC' (Polonium-214)

RaC' (Polonium-214)RaC' is a historical name for Polonium-214 (²¹⁴Po), a radioactive isotope in the uranium-238 decay chain.Modern NamePolonium-214 (²¹⁴Po)Atomic Number84Mass Number214Half-life~164 microsecondsDecay ModeAlpha decay to Lead-210 (²¹⁰Pb)Decay ChainUranium-238 seriesDecay Sequence²²²Rn → ²¹⁸Po → ²¹⁴Pb → ²¹⁴Bi (RaC) → ²¹⁴Po (RaC') → ²¹⁰Pb RaC' (폴로늄-214)RaC'는 폴로늄-214 (²¹⁴Po)의 옛 명칭으..

결합에너지 완전정리

결합에너지(Binding Energy) 완전정리1. 결합에너지란?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이 강한 핵력으로 서로 붙어 안정한 상태를 유지합니다. 이때 원자핵을 구성하는 입자들을 묶어두는 에너지를 결합에너지라고 합니다.쉽게 말해, 결합에너지는 원자핵이 한 덩어리로 뭉쳐 있게 하는 힘의 세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2. 질량 결손과 결합에너지 관계원자핵을 구성하는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을 모두 더한 값은 실제 핵의 질량보다 항상 큽니다.원자핵 질량 이 차이를 질량 결손이라고 부르며, 아인슈타인의 공식 E=mc²에 따라 이 질량 결손이 결합에너지로 변환됩니다.3. 결합에너지 계산 예시 — 헬륨-4 원자핵 헬륨-4 핵: 2개의 양성자 + 2개의 중성자 양성자 2개 + 중성자 2개의 질량 합..

🧮 질량결손 공식

🧮 질량결손(Δm) 공식공식:Δm = Z · mₚ + N · mₙ − m핵✅ 기호 설명 Δm: 질량결손 Z: 양성자 수 N: 중성자 수 = A - Z mₚ: 양성자 질량 ≈ 1.00727 u mₙ: 중성자 질량 ≈ 1.00866 u m핵: 실제 핵 질량✅ 설명 원자핵의 실제 질량은 양성자와 중성자의 질량 합보다 작습니다. 이 질량 차이를 질량결손이라 하며, 결합에너지(E = Δmc²)로 전환됩니다.✅ 예시 (⁴He) Z = 2, N = 2 Δm = (2 × 1.00727 + 2 × 1.00866) − 4.00260 = 0.03038 u E = 0.03038 × 931.5 = 28.29 MeV

📌 비결합에너지 요점 정리

📌 비결합에너지 요점 정리✅ 개념 정의비결합에너지 (Binding Energy per Nucleon)→ 원자핵 1개의 핵자당 평균 결합에너지→ 핵의 안정성을 판단하는 지표계산식:비결합에너지 = 총 결합에너지 / 질량수(A)✅ 관련 개념 결합에너지: 핵자들의 질량합보다 핵의 실제 질량이 작음 → 차이가 에너지(E=mc²) 질량결손(Δm): Δm = Z·mp + N·mn - m핵 결합E: E = Δmc²✅ 그래프 특징 56Fe에서 최대 (~8.8 MeV/핵자): 자연계에서 가장 안정 수소(H): 비결합에너지 0 (가장 불안정) A 급격한 상승 (예외: ⁴He, ¹²C 등 높게 솟음) A > 60: 점차 감소✅ 핵융합/핵분열과의 관계 반응 유형 에너지 발생 ..

🎯 동위원소희석법(직접법) 계산 문제 풀이

🎯 동위원소희석법(직접법) 계산 문제 풀이화학 분석법 중 하나인 동위원소희석법(직접법)을 활용하여 시료 속 특정 성분의 양을 구하는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문제어떤 혼합물 시료 중 한 성분을 동위원소희석법(직접법)으로 정량하였다. 시료에 표지된 성분물질 5 mg (비방사능 1,000 Bq/mg)을 첨가하고 잘 혼합하였다. 이후 성분 물질을 순수하게 분리한 결과, 그 비방사능은 200 Bq/mg이었다.👉 이때, 시료 중 원래 들어있던 성분물질의 양은 몇 mg인가?🧪 동위원소희석법(직접법)이란?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표준물질을 시료에 첨가한 후, 혼합된 물질의 비방사능을 측정하여 시료 내 성분물질의 양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풀이 과정✔️ Step 1. 주어진 값 정리 항목 ..

728x90
반응형